사원별 급여정보 및 사회보험 관리

급여 자동 계산을 위한 마지막 준비 단계! 다우오피스에서 사원별 연봉, 월급 등 급여정보를 입력하고, 입퇴사자 4대 보험 신고 대상을 누락 없이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정확한 기초 정보로 완벽한 자동화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우오피스HR's avatar
Aug 18, 2025
사원별 급여정보 및 사회보험 관리

4편에서 한 달치 근태 기록을 완벽하게 '마감'하며, 급여 계산을 위한 정확한 근로시간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이제 급여 자동 계산이라는 가장 중요한 단계를 앞두고, 마지막 기초 공사를 진행할 차례인데요. 바로 직원 개개인의 급여 기준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법적 의무인 4대 보험 신고 대상을 누락 없이 확인하는 것이죠.

이번 편에서는 직원별 급여 기준 정보를 입력·수정하고, 입/퇴사 발생 시 사회보험 신고 대상을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먼저, 급여 계산의 기초 데이터인 '사원별 급여정보'를 입력합니다.

연봉, 월급, 세금 감면 정보 등 각 직원의 급여 정보를 시스템에 정확하게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이 정보는 모든 자동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사원별급여관리 화면

  1. 메뉴 이동:

    경영업무 포털 > 급여관리 > 급여 > [사원별 급여관리]

  2. 연봉 및 월급 정보 입력:

  • [연봉] 탭에서 급여 정보를 입력할 직원을 선택합니다.

  • 계약 연봉, 월급, 급여 지급 계좌 등 필수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신규 입사자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이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1. (필요시) 세액 감면 정보 등록:

  • [세액감면,공제등록] 탭에서 부양가족, 중소기업 취업 소득세 감면 등 직원별 세금 혜택 정보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급여대장 생성 시 소득세 계산에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

잠깐! 이 메뉴가 보이지 않나요?

위 설정 메뉴에 접근하려면, 먼저 최고 관리자로부터 '급여'에 대한 '앱 관리자' 권한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권한이 없는 경우, 1편 가이드를 참고하여 최고 관리자에게 권한을 요청하세요.

다음으로, '사회보험' 신고 대상을 확인하여 누락을 방지합니다

인원 변동(입/퇴사)이 있을 때마다 4대 보험 신고는 법적 의무이자, 누락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는 중요한 업무입니다. 다우오피스 HR은 신고 대상을 자동으로 찾아주어 실수를 방지합니다.

사회보험 신고대상조회
  1. 메뉴 이동:

    경영업무 포털 > 급여관리 > 급여 > 사회보험 > [신고대상 조회]

  1. 실무 상황별 활용법:

  • 신규 입사자 발생 시

    • [취득] 탭을 클릭하면, 사원 정보에 새로 등록된 직원이 4대 보험 취득 신고 대상자로 자동 조회됩니다.

    • 이 목록을 확인하고, [사회보험취득신고 바로가기]를 통해 공단에 신고를 진행하면 누락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퇴사자 발생 시:

    • 직원의 퇴사 처리가 완료되면, [상실] 탭에 해당 직원이 상실 신고 대상자로 자동 조회됩니다.

    • 신고에 필요한 보수총액, 근무 개월수까지 시스템이 자동으로 계산해주므로, 복잡한 확인 절차 없이 바로 신고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제 모든 직원의 급여 기본 정보가 정확히 입력되었고, 입/퇴사자에 대한 사회보험 신고 대상도 누락 없이 확인했습니다. 완벽한 급여 자동화를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오늘 준비한 이 데이터를 가지고, 드디어 클릭 몇 번으로 급여대장을 자동 완성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Share article

다우오피스 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