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규모가 크지 않거나 인사 담당자가 전사 근태를 총괄하는 경우, 방법 A를 통해 담당자를 '전사 근태관리 운영자'로 지정하는 것이 가장 명확하고 간편합니다.
2편에서 우리 회사의 기본 근무 및 휴가 규칙 설정을 모두 마치셨네요. 이제 설정된 규칙들이 실제 업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할 차례입니다. 인사 담당자의 매일은 직원들의 근무 현황을 확인하고, 휴가 신청을 처리하는 일로 채워지죠.
이번 편에서는 직원들의 근무/휴가 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고, 실제 현황을 확인하며 휴가 신청을 결재하는 전 과정을 안내합니다.
먼저, 직원 현황을 조회할 '운영자' 권한을 설정합니다
직원들의 근태와 휴가 현황을 보려면, 해당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운영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이 설정은 통합설정에서 이루어지며, 근태와 휴가에 대해 각각 설정해야 합니다.
1. 근태 현황 조회 권한 설정
메뉴 이동:
통합설정⚙️ > App 관리 > 경영업무 포털 > 근태 > [근태 기본설정]
방법 A (인사팀용): '전사 근태관리' 운영자 지정
위 경로로 이동하여 '전사 근태관리' 항목을 찾습니다.
전사 근태관리 운영자 설정으로 들어간 뒤 [+운영자 추가] 버튼을 눌러, 인사 담당자를 추가합니다.
이제 해당 담당자는 모든 직원의 근태 기록을 조회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방법 B (부서장용): '부서 근태관리' 기능 사용
위 경로에서 '부서 근태관리' 항목을 찾습니다.
'사용여부'를 [사용중]으로 변경하고 저장합니다.
이제 조직도에 '부서장' 또는 '부부서장'으로 지정된 모든 리더는 자신의 소속 부서원들의 근태 현황을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
2. 휴가 현황 조회 권한 설정
메뉴 이동:
통합설정⚙️ > App 관리 > 경영업무 포털 > 휴가 > [휴가 기본설정]
방법 A (인사팀용): '전사 휴가관리' 운영자 지정
전사 휴가관리 항목에서 [+ 운영자 추가] 버튼을 눌러 담당자를 설정하면, 해당 담당자는 전사 임직원 휴가를 조정 및 휴가사용현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방법 B (부서장용): '부서 휴가관리' 기능 사용
'사용여부'를 [사용함]으로 변경하면, 부서장은 자기 부서원의 휴가 현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잠깐! 이 메뉴가 보이지 않나요?
위 설정 메뉴(근태 기본설정, 휴가 기본설정)에 접근하려면, 먼저 최고 관리자로부터 '근태' 및 '휴가'에 대한 '앱 관리자' 권한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권한이 없는 경우, 1편 가이드를 참고하여 최고 관리자에게 권한을 요청하세요.
매일의 첫 업무: 실시간 근태 현황 확인하기
모든 권한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제 담당자는 매일 아침, 직원들의 출근 현황을 확인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확인 경로: 임직원 포털 > 근태 > 부서/전사 근태 관리 > [부서/전사 근태현황]
확인 내용: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자신이 권한을 가진 범위 내 직원들의 근무 상태(정상근무, 지각 등)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수시 업무: 휴가 신청 확인하고 처리하기
직원의 휴가 신청:
직원은 임직원 포털 > 휴가 메뉴에서 시스템이 자동으로 계산해 준 자신의 '잔여 연차'를 확인합니다.
[휴가 신청] 버튼을 눌러 휴가 종류(연차, 경조사휴가 등)와 기간을 선택하고 결재를 올립니다.
관리자의 휴가 승인:
휴가 신청이 올라오면, 결재 라인에 지정된 관리자에게 알림이 갑니다.
관리자는 임직원 포털 > 전자결재 메뉴에서 신청 내용을 확인하고 [결재] 버튼을 누릅니다.
최종 결재가 완료되면, 해당 직원의 잔여 연차는 시스템이 알아서 자동으로 차감하고, 캘린더 등에도 휴가 일정이 공유됩니다.
💡
기본 결재선은 어디서 설정하나요?
휴가 신청 시 결재를 받을 팀장 등 기본 결재선은 통합설정⚙️ > App 관리 > 임직원 포털 > 전자결재 > [자동 결재선]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일상적인 확인과 처리 업무는 서비스에 맡기고,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음 편 [4단계: 급여관리 준비]에서는 정확한 급여 계산을 위해, 한 달간의 근태 기록을 최종 확정하는 '근태 마감'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